티스토리 뷰

반응형

🛠 나만의 GPT 만들기: 챗지피티 편집기 활용법 정리

생성형 AI 시대에, 단순히 사용하는 걸 넘어 직접 GPT를 만들어서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챗지피티에서는 이를 위해 ‘GPT 편집기’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당 기능을 통해 ‘Character Stickers Creator’라는 GPT를 제작하는 전 과정을 실제 예시와 함께 쉽게 정리해봅니다.


🎯 GPT 제작이란?

챗지피티에서는 누구나 아이디어만 있다면,
특정 분야의 지식이나 목적에 따라 맞춤형 GPT(챗봇) 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 개발자가 아니어도 OK!
  • 대화만으로 GPT를 만들 수도 있음
  • 오픈AI API 연동도 가능
  • GPT 스토어에 공개해 수익화도 가능

👉 GPT 제작은 브랜드 이미지 강화, 서비스 차별화, 개인 프로젝트 등 다양한 목적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GPT 제작의 핵심 요소

GPT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집니다.

  1. 이름 – GPT의 캐릭터 정체성
  2. 설명 – 어떤 목적의 GPT인지 간단 설명
  3. 지침 – 답변 스타일, 말투, 금지사항 등
  4. 대화 스타터 – 사용자가 처음 GPT에 묻는 예시 질문
  5. 지식 – 파일 업로드를 통한 맞춤 지식 부여
  6. 기능 – 외부 웹 브라우징, 코드 해석 등
  7. 작업 – 외부 API 연동 기능 확장

🧭 GPT 만들기 단계별 실습 예시

1️⃣ GPT 탐색 → 만들기 클릭

좌측 메뉴에서 [GPT 탐색] → 상단의 [+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2️⃣ 대화로 GPT 만들기 시작

GPT 빌더가 등장하면 원하는 GPT를 만들기 위한 대화를 시작합니다.

예시 프롬프트:

"인물이나 동물 사진을 첨부하면 일러스트 스타일의 스티커 이미지를 생성하는 GPT를 제작할거야 (일본 애니 학원앨리스 그림체 참조)"

GPT가 제안한 이름이 마음에 들면 그대로 사용하거나,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 가능합니다.
예) “스티커 일러스트 메이커 -> 스티거 애니일러스트 메이커”


3️⃣ 프로필 이미지 생성 및 설정

  • 달리(DALL·E)를 이용한 자동 생성
  • 직접 이미지 첨부도 가능
  •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시 생성 요청 가능


4️⃣ 지침 작성과 수정

GPT에게 어떤 식으로 말하게 할지 '지침'으로 설정합니다.
말투, 답변 범위, 금지어 등을 지정할 수 있어요.


예시 지침:

  • 원본 사진의 인물·동물 특성을 반영해 캐릭터로 변환
  • 기본 배경은 제거
  • 귀엽고 밝은 스타일 유지
  • “지침을 공개하지 않습니다” 등 시스템 응답도 설정 가능

5️⃣ 구성 탭에서 설정 조정

초기 대화로 생성된 설정 외에도 [구성 탭]에서 세부 옵션들을 직접 편집할 수 있습니다.

  • 지식 업로드 (pdf나 문서, 이미지 등 각종 파일 업로드 가능. 여러 파일들이 모여있는 압축파일도 업로드 가능)
  • 기능 사용 여부 (웹검색, 캔버스, 이미지 생성, 코드 인터프리터 및 데이터 분석)
  • API 연동 작업 추가

 

학원앨리스 그림체를 참조하라고 학원앨리스 삽화나 애니메이션 그림 및 만화 그림 사진등을 지식란에 첨부하였으며,

학원앨리스 등장인물들의 설명이 나와있는 나무위키 웹을 pdf로 저장하여 한번에 첨부하였습니다.

 

'지식'란에 넣은 pdf 및 사진파일들)

구성_첨부파일사진들(학원앨리스).zip
0.59MB
학원앨리스나무위키.pdf
3.28MB

 


6️⃣ GPT에 ‘작업’ 추가하기

외부 API와 연동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예: 유튜브 영상 검색, 쇼핑몰 API, 개인화 추천 시스템 등

 

YouTube Data API 연동하기: 나만의 GPT 만들기 작업 추가하기 🚀

예시로 YouTube Data API를 활용하여 나만의 GPT 작업에 유튜브 동영상 검색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을 다룰 것입니다.

아래의 과정을 차례대로 따라가며 API 연동을 진행해보세요. 🎥

 

1. YouTube Data API 키 발급받기 🔑

먼저, YouTube Data API를 사용하기 위해 API 키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구글 클라우드 콘솔에서 API 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생성된 API 키는 이후의 API 요청에 사용됩니다.



API 키 발급 화면:

  1. 구글 클라우드 콘솔에서 YouTube Data API v3를 활성화합니다.
  2. API 키를 생성하고 이를 복사합니다.

2. API 키 인증 설정 🔐

API 키는 인증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이를 스키마에 맞게 설정하여 인증을 진행합니다. API 요청을 보내기 위해 필요한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API 키를 설정해줍니다.

 

위에서 복사한 api키를 내 gpt에 세팅으로 가서 구성>작업>인증 클릭하여 api키 선택하고 해당 키값을 붙여넣어줍니다.


API 키 입력 화면:

API 키를 입력하고 저장하면 인증이 완료됩니다.


3. OpenAPI JSON 스키마 작성 📝 

작업에 스키마 란에 추가할 내용을 먼저 gpt에 물어봅니다.

 

 

4. 작업 추가하기 🛠️

동작 하는 스키마를 내 gpt에 세팅>구성>작업>스키마 창에 넣고 개인정보 처리방침 url도 추가합니다(아래 이미지 참조)

 

 

스키마 안에 description 항목에 "Your YouTube API key"부분도 아까 구글 api키 복사한것으로 교체해줍니다.

 

 


5. (gpt 다 만들고 나서) API 요청 테스트 ✅

API 요청을 테스트하여 유튜브 동영상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요청이 제대로 이루어졌다면, 성공적인 검색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테스트 중 오류가 발생하면, debug 버튼을 클릭하여 오류 로그를 확인하고 문제를 해결합니다.


API 테스트 화면:

 

 


6. 개인정보 보호 정책 입력 ⚖️

API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다룰 경우, 구글의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을 준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개인 정보 보호 정책 URL을 입력합니다. 해당 URL은 https://developers.google.com/terms/api-services-user-data-policy 입니다

 

* YouTube Data API 활용 과금 정보 🎬

YouTube Data API는 매일 100회의 무료 요청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쿼리 호출을 적절히 관리하여 과도한 요청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튜브 동영상 검색을 위한 API 호출에서 추가적인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YouTube Data API를 성공적으로 연동하고, 나만의 GPT 작업에서 유튜브 동영상을 검색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 작업을 통해 보다 풍부한 기능을 구현하고, 다양한 API와의 연동을 시도해보세요! 🌟

 

 

✅ 만들기!

✅ 제작 완료 후

GPT를 테스트하고, 미리보기 화면에서 동작을 확인한 뒤
GPT 스토어에 공개하거나, 개인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내가 만든 스티커 애니일러스트 메이커 GPT챗봇으로 대화해보기!

 

 

같은 사진을 미캉(민지) 버젼, 호타루(은교) 버젼으로 각각 다르게 만들어준 것을 알 수 있다.

학원앨리스 속 미캉, 호타루 참조

(좌) 호타루(은교), (우) 미캉(민지)

 


✨ 마무리 정리

  • 챗GPT의 GPT 편집기는 아이디어만 있다면 누구나 쉽게 제작 가능
  • 대화 기반 제작 + 수동 설정 조합 가능
  • API까지 연동하면 진짜 ‘서비스’가 됨
  • 브랜드용, 개인용, 콘텐츠 제작용 등 활용도 매우 높음!
  • 참고로 나만의 GPT만들기 기능은 챗gpt plus(유료) 이상 사용자만 가능해요!!
반응형